본문 바로가기

육아20

수족구병(원인과 증상, 잠복기, 어른감염 , 격리기간, 손발톱 빠짐 등) 수족구병은 손, 발, 입에 특징적인 수포가 발생하는 병으로 6개월~4세 사이의 소아들이 여름, 가을철에 흔히 걸리는 급성 바이러스 질환이다. 이번 시간은 수족구병의 원인과 증상, 잠복기, 어른도 감염이 되는지 등에 대해 알아보자. 수족구병의 원인과 증상 수족구병은 이름 그대로 손과 발과 입안에 물집이 잡히는 병으로 무릎이나 엉덩이에 물집이 잡히기도 한다. 수포 병변이 심한 아이들은 얼굴이나 등, 배, 가슴, 팔꿈치 등 전신에 물집이 생길 수도 있다. 수족구병은 콕사키바이러스나 엔터로바이러스에 의해서 생기고 증세가 워낙 특징적이기 때문에 감염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간혹 손과 발에 생기는 물집의 수가 매우 적거나 물집이 아닌 작고 붉은 발진이라면 파악이 어려울 수도 있다. 고열이 발생할 수도 있지만.. 2023. 12. 26.
소아 빈혈(아기 빈혈) 아기들은 생후 6개월이 지나면 엄마 뱃속에서 받아 나온 철분을 다 써버리기 때문에 이유식 등을 통해 따로 철분을 공급해 주어야 한다. 이번 시간은 어떤 경우에 철 결핍성 빈혈이 생기고 증상과 빈혈 치료를 위한 예방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철 결핍성 빈혈의 원인 정상적으로 태어난 아기들은 엄마 뱃속에서 미리 6개월 치의 철분을 받아서 태어난다. 따라서 6개월이 지나면 이유식 등을 통해 따로 철분을 공급해 주어야 철분 부족으로 인한 빈혈을 막을 수 있다. 과거에 비해 영양 상태가 좋아진 현재에도 빈혈은 여전히 흔히 볼 수 있는데, 이유식을 제대로 해주지 않아서 철 결핍성 빈혈에 걸리는 아기가 상당히 많다. 아기의 이유식 식이가 진행되지 않으면서 성장이 느릴 경우에는 병원에 가서 빈혈 검사를 할 것을 추천한다.. 2023. 12. 19.
성조숙증(원인, 검사, 치료, 예방법) 요즘은 전반적인 영양 상태가 좋아지고 비만, 환경 호르몬의 노출 등과 같은 원인에 의해 사춘기가 빨라졌다. 그로 인해 성조숙증인 경우가 많아지면서 당황하는 부모가 많아졌다. 이번 시간에는 성조숙증은 어떤 병이며 원인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고 예방 방법과 치료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성조숙증이란? 성조숙증은 쉽게 말해 사춘기가 또래보다 빨리 오는 것으로 즉 2차 성징이 조기에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남아의 경우 만 9세 이전에 고환이 커지거나, 여아의 경우 만 8세 이전에 유방이 발달하는 증상이 나타난다. 성조숙증은 여아에게 더 흔하게 나타나는데, 성조숙증이 있으면 키와 체중이 빨리 자라 성장판이 일찍 닫히기 때문에 당시에는 또래에 비해 크지만 성인 키는 이전의 예상키에 비해 현저히 작다(10cm 정.. 2023. 12. 12.
까다로운 기질의 아이 키우기 예민하고, 자다가도 자주 깨고, 낯선 환경 변화를 힘들게 받아들이는 등 양육하기 다소 힘든 까다로운 기질의 아이. 이런 아이들은 어떻게 키워야 할까? 이번 시간은 까다로운 기질의 아이에 대해 이해하고, 어떻게 키우면 좋을지 알아보자. 기질이란? 기질이란 타고난 특성으로 순한 아이, 까다로운 아이, 느리게 반응하는 아이로 구분되며 이후 아이가 성장하면서 하나의 성격 특성으로 나타난다. 순한 아이의 경우 정해진 시간에 먹고 자며 새로운 환경에도 쉽게 적응하여 양육하는 데 있어 어려움이 덜한 반면 까다로운 기질의 아이는 예민하고 생체 리듬도 불규칙적이라 자다가도 자주 깨거나 울고 보채고 낯선 사람이나 환경 변화를 힘들게 받아들이는 등 부정적인 정서적, 행동적 표현을 종종 하기 때문에 양육하는데 다소 힘들다. .. 2023. 12. 12.